세계해양포럼 제16회 세계해양포럼 : 수산
페이지 정보

본문
세계는 지금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본격적인 신냉전체제가 돌입하는 가운데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 부분적 자유무역이 추진되고 있다.
이 속에서 세계 수산업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 수산업은 장기적으로 어떤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할까.
수산 세션에서는 글로벌 수산 공급망 변화 속에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가 한국 수산업에 위기 혹은 기회가 될지를 알아보고,
한국 수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하려면 어떻게 할지를 고민해본다.
해양수산·양식품 – 트렌드, 도전, 그리고 기회 : 마르시우 카스트로 드 수자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수산무역팀 선임수산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수산업 : 서진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협정팀 선임연구위원
삼진어묵 기업의 성장과 도전 : 박용준 삼진식품(주) 대표
토론
발제자 전원 참석
김한호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 글로벌 푸드 시스템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정명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연구본부 실장 : 메가 FTA 대응 전략
김도훈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학과 교수 : 수산자원관리 규범 강화와 대응 방향
박용한 해양수산부 통상무역협력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