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8 해양 6 3 5 sea 1 2022 4 2023 26 해양문화 BBNJ 협정이 가져올 변화와 앞으로의 과제 BBNJ 협정으로 달라지는 첫 번째 공해와 심해저의 해양유전자원BBNJ 협정이 발효되어 우리나라에 법적 효력.. BBNJ협정 해양유전자원 공해 심해저 해양환경 이창렬 25 해양직업 초대형 해양 오염 사고를 막아낸 해양환경공단 직원들을 만나다! 안녕하세요 한국해양산업협회입니다태풍 카눈이 위협한 지난 8월 10일 표류 선박의 화객선 충돌에 따른초대형 해.. 태풍 해양오염 해양환경공단 24 해양산업 친환경에 한 발자국,액화수소운반선 액화수소운반선 연합뉴스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수소 연료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현재 기체로 운송하는 .. 해양환경 액화수소운반선 선박 23 해양문화 네 가지 관점으로 바라본 '지속 가능한 바다' 바다는 최초의 생명체가 태어난 근원이자 과거 모험과 도전을 불러일으켜 마침내 새로운 문명으로 이끈 장본인으로.. 해양환경 해양콘텐츠 해양생물 22 해양문화 친환경을 넘은 필(必)환경 시대, 해양을 보호하는 방법은? 유토이미지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우리 생활에 많은 부분이 변화하였습니다 감염위험을 줄이기 위해 음식을 포.. 해양환경 해양오염 해양쓰레기 21 해양산업 바닷속 무서운 이야기, 바닷속에 유령이 산다? pixabay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전국 연안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양은 183톤으로 2018.. 해양정책 해양환경 유령어업 20 해양문화 '해양판 백과사전', 해양환경정보포털 거북이 국가해양환경 온라인 교육센터해양판 백과사전 해양환경정보포털httpswwwmeisgokrportalm.. 해양환경 해양환경정보포털 19 해양산업 '바다 지키기' 이룰 수 있을까? pixabay많은 해양생물들의 보금자리인 바다 이곳에는 약 21만 종의 해양생물이 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양정책 해양환경 해양생물 BBNJ 18 해양문화 점점 따뜻해지는 바다,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이하경SEA 기자SEA 기자단 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바다에 관심을 갖고해양 생물들이 건강한 생태계에서 .. 해양환경 해양정책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17 해양문화 동해안의 황금어장, 독도 해역 10월에 있는 기념일 하면 가장 먼저 어떤 날이 떠오를까 보통의 사람들은 10월 3일 개천절 또는 10월 9.. 독도 해양환경 16 해양산업 이젠 대세, 탄소 중립 이젠 대세 탄소 중립영0이 좋은 경우도 있다 바로 탄소 중립net zero이 그렇다 배출량은 최대한 줄이고 .. 해양환경 머스크라인 녹색물류회랑 최재선 15 해양산업 바다의 탄소중립을 위한 세계의 움직임 지난 8월 16일 미국의 조 바이든 정부는 상하원의원에서 발의한 2022 인플레이션 감축법The Inflat.. 해양환경 해양정책 탄소중립 강현주 열린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