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잠수정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5개
- 1/1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높이 2,268m의 거대한 해저산, 독도 애국가의 가사대로 동해 물이 마른다면 울릉도의 부속 섬 독도는 어떤 모습일까? 독도는 자그마한 돌섬이 결코 아니다. 우리가 보는 독도는 해저로부터 높이 2,268m에 이르는 한라산보다 더 높은 거대한 독도 해산의 정상부일 뿐이다. 독도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그런 웅장함을 바다에 품고 있다. 약 460만 년 전 해저 화산 분출로 생성 당시 현재의 울릉도만큼이나 큰 섬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독도는 울릉도보다 더 오랜 세월 동안 동해의 거센 파도와 바람에 깎이면서 현재의 독도를 만들어왔다. …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바다는 그 광대함만큼이나 많은 가능성을 품고 있는 공간으로서 고용과 부를 창출하는 국가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미래에도 해양은 국가발전을 주도하는 성장 동력의 원천으로서 숱한 가치와 의미를 창조해 나아갈 것이다. 해양은 식량, 광물, 공간자원의 보고로서 경제발전의 새로운 돌파구의 희망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도 해운, 항만, 수산, 해양관광 등 해양산업이 크게 기여하여 왔다. 해양과학기술은 해양과 관련된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
-
로봇이 해양 산업 현장을 누빈다! 최근 들어, 로봇기술이 신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오늘날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덮고 있는 저 드넓은 바다에서 다양한 로봇들이 과학탐사, 국방, 에너지, 건설 등 많은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중에서 오늘은 해양 산업현장 최전선을 누비고 있는 수중로봇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수중로봇은 그 운용 환경 때문에 태생적으로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6~70년대 석유·가스 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민수분야에서도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육상 및 항공 분야의 로봇 및 드론과 달리 수중에…
-
종류도 많고 기능도 다양한 해양로봇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는 해양개발을 4대 핵심 산업으로 분류할 정도로 경제·물류·교통의 핵심, 기후변화 최대 조절, 생명의 근원지, 광물·수산 자원의 보고인 바다는 그만큼 중요하다. 해상 풍력발전, 조력·조류·파력발전 등 대체 에너지 개발 확대에 따른 해양플랜트 건설과 장대 해상교량, 해저터널 등 다양한 목적의 해양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양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과거 해양 개발은 대부분 잠수사에 의존하여 진행된 반면, 사람들의 관심 영역에 해당되는 수…
-
우리는 심해 탐사를 할 기회가 생긴다면 과연 선뜻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미지의 심해를 5,044m 탐사하신 분이 국내에 있다고 합니다. 국내 유일무이한 탐사 기록을 가지고 계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김웅서 원장님을 모셨습니다. 김웅서 원장님께서 말씀하신 심해 탐사를 하는 현장에서 해양과학자들의 기본적인 덕목은 무엇이었을까요? 또한 대한민국의 해양 경쟁력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기술 수준은? 구체적인 내용은 김웅서 원장님의 인터뷰를 보면서 확인해 보시죠 출연 김웅서(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장) MC 백현충(부산일보 해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