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42개
- 1/5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한국인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수산물 소비자이다. 1인당 연간 수산물 섭취량이 OECD 평균의 두 배를 훌쩍 넘는다. 이는 우리의 음식문화가 얼마나 바다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급격히 악화되는 해양 생태계와 풍부했던 수산자원의 위기는 이제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수산물이 고갈되고 있다는 사실을 접할 때마다 우리는 기후변화 탓을 하거나 불법어업, 무분별하게 남획하는 어업을 탓한다. 하지만 우리의 소비문화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 어떠한 개선도 어렵다는 것을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다. …
-
우리나라에 산호가 살고 있다. 우리나라에 산호가 살고 있다. 물속에 존재하기에 잘 보이지 않아서인지, 이를 알고 있는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산호라고 하면 대개는 맑고 얕은 열대 바다의 산호를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사실 산호는 수천 미터 바닷속에도, 꽁꽁 얼어붙을 만큼 차가운 극지방에도 살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바닷속 곳곳에도 산호가 살아간다. 그중 제주도 남쪽 서귀포 앞바다는 우리나라에서 산호군락이 가장 크게 발달해 있다. 열대 바다에 사는 딱딱한 돌산호가 아닌, 부드러운 몸체를 가진 연산호가…
-
에메랄드빛 바다의 어떤 도전 여름이다. 태양은 뜨겁다. 하지만 바닷바람이 부는 제주 용수항 선착장 매점에 앉아 시원한 맥주 한 캔과 반건조 오징어를 안주 삼아, 차귀도가 떠 있는 에메랄드빛 바다를 바라본다면 어떤가? 게다가 저 끝없이 밀려오는 파도들이 전기를 만들고 있다면? 이건 상상이 아니다. 바로 차귀도 앞바다에서는 실제로 그 파도를 전기로 바꾸는 파력발전(Wave Power)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파도를 따라 움직이는 작은 부표들, 언뜻 보면 해상 표지판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파력발전 테스트 장치다. 관광객들이…
-
북극항로의 미래 전망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 빙권(氷圈) 감소로 '30년경 북극항로 개방이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항로인 북극항로 개발이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속되고 있는 중동 지역의 홍해 위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논의,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북극 개발 확대 전략 수립 등은 북극항로의 활성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동인(動因)이 될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당초 많은 전문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의 대러(對露) 경제제재…
-
건축에 관련된 현대적 기술은 가파르게 발전하고 있다. 예전에는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그림들이 현실세계에서 일상이 된다. 사막 한가운데에 거대한 리조트를 건설하거나 바다 한가운데에 인공섬으로 도시를 만든다는 것도 이제는 익숙한 일이고, 현실적으로 구현되기 어려운 각종 제약들이 허물어지고 있다. 더구나 거대한 자본까지 뒷받침되는 경우 비록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들 뿐 불가능이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중동 오일머니의 초거대자본이나 미래를 위한 초국가적 투자가 아니라면 일상적인 도시의 현실에서는 아직도 건축적으로 많…
-
도심 속 편의점에서 무심코 집어든 참치 삼각김밥, 마트의 진열대에 올려져 있는 생선과 해산물들, 온라인으로 주문한 냉동수산물. 우리는 여러 방식으로 수산물을 소비하면서 정작 그들이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잡혀왔는지 관심조차 갖지 않는다. 어쩌면 ‘바다’는 우리의 생활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럴지도 모른다. 국내 대형마트의 신선수산물 코너 ⓒ MSC 하지만 이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이 전혀 다른 두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다. 하나는 국제해양영화제, 또 하나는 해양관리협의회(Marine Stew…
-
지난 10여 년 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계 건축계에는 크고 작은 이벤트들이 있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네옴(Neom)”프로젝트가 강력한 화제성이 있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거대한 불모지의 미개발 지역에 메가 신도시를 구축하는 프로젝트 네옴은 2017년 10월 처음 세상에 발표된 이래, 그 상상력, 거대함, 대자본, 실현가능성 등 미개척 분야에 대한 도전적인 과제의 성격으로 전문가는 물론 대중들도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홍해 프로젝트 (The Red Sea Project) 네옴 프로젝트는 사우디 정부가 2016년 …
-
생명자원으로 활용되는 미세조류 이전 글에서는 지구생물생태계에서 미세조류의 역할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이번 글에서는 바이오산업에서 미세조류의 활용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하는 작은 미세조류는 그 종류가 수만 종에 달하며, 이 중 일부는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어 생물자원으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예를 들어, 마트나 홈쇼핑 광고에서 한번쯤 들어 봤을 만한 상품명, 클로렐라(Chlorella), 스피룰리나(Spirulina), 그리고 나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아이소크리시스(Isoch…
-
북극항로에 대한 국내외 정치권의 관심이 급상승 중이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북극권에 대한 주도권 확보를 위해 덴마크령 그린란드 매입을 공공연히 언급하고 JD벤스 부통령이 직접 현지를 방문하기도 했다.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 역시 북극항로를 국부창출을 위한 새로운 먹거리로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사실 우리나라가 북극항로에 관심을 가진 것은 2000년대 초반부터였고, 어언 20여년이 지난 현재도 여전히 북극항로의 가능성에 대한 이슈 제기와 경제성 여부에 대한 논박이 진행 중이다.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 아시아와 북…
-
바다에서 피어나는 녹색 희망 최근 국제적으로 슈퍼푸드로 재조명을 받는 수산물이 있다. 바로 해조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후조리에는 미역, 어린이 반찬에는 김을 자연스럽게 떠올릴 정도로 익숙한 식품이다. 조류(Algae)는 전 세계에 약 4만 여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중 이용되고 있는 것은 약 500여 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기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잘 알려지지 않은 종까지 포함하면 이보다 4~8배 정도가 많다고 한다. 조류는 크게 미세조류와 거대조류로 분류되는데 우리가 음식으로 자주 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