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28개
- 2/3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20여 년 전 21세기 동북아 해양수도 선포는 해양을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미래 성장의 핵심 동력이자 원천으로 인식한 부산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한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해양레저산업 강국인 일본과 거대 시장으로 부상 중인 중국에 인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태평양 건너 초강대국 미국을 접하는 천혜의 해양벨트를 가진 부산이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거점임에는 틀림없다. 해양문화와 대륙문화가 만나는 접점에서 일찌감치 외국 문물들이 드나들던 개항도시인 부산은 전 세계가 겪고 있는 코비드-19 팬데믹(Pandemic), 이상 기후…
-
해양수도 부산에서 해양디자인의 다양한 갈래를 펼치며 요트, 보트, 선박 침수 비상사다리 등 해양레저 제품부터 해양 안전 제품까지 디자인 및 개발하여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는 크리에이티브퍼스 신홍우 대표를 만나보았다. Q. 해양디자인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해양디자인은 어떤 분야이고, 왜 주목받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해양디자인은 마린디자인이라고도 표현되는데 국내에서는 해양에서 바라보고 접해있는 모든 해양환경 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디자인을 다 해양디자인이라고 하는데 등대, 어선, 방파제, 조형물, 어촌 인터페이스 등 어촌…
-
섬 위에 도시를 지어볼까? 해양新도시 우리나라는 비교적 육지가 좁고 인구 밀도가 높으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바다 공간을 이용하기에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해안의 얕은 곳을 매립하거나 섬을 깎고 넓히는 방법으로 해양 공간을 활용하여 왔지만, 해양 과학 기술의 발달로 미래에는 바다 위는 물론 바닷속에도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시설이나 공항, 공원 등을 만들어 육지처럼 활용할 수 있는 해양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해양도시는 바다 위 또는 바닷속에서도 인간이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이나 …
-
이젠 대세, 탄소 중립 영(0)이 좋은 경우도 있다. 바로 탄소 중립(net zero)이 그렇다. 배출량은 최대한 줄이고, 흡수량은 최대한 높여 이산화탄소의 순 배출량이 ‘0’이 된 상태. 그 시기가 바로 2050년이다. 선진국들은 경쟁적으로 탄소 제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유럽연합(EU)‧미국 등이 탄소 국경조정제도를 도입하는 일정표를 발표하고, 글로벌 기업들이 RE100 선언이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것도 이 같은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것이다. 선박의 탄소 규제가 더 세다. 해양…
-
선박용 연료, 그동안 무엇이었고 탄소중립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선박용 연료는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유류 비중에서 평균 3% 정도 수준이기 때문에 육상에서 사용되는 연료가 지배적이며, 오로지 선박을 위한 연료가 존재한다기보다는 선박을 위한 연료는 육상용에 맞춰왔다고 볼 수 있다. 특히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유류 파동으로 인해 유류 절감 목적으로 선박 연료유의 질은 더욱 저하되었다. 그동안의 선박용 연료유는 원유의 정제의 산물 중 C 중유(bunker C)였고, 이러한 연료유 중의 유황분은 황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의 원…
-
Q. 현재 탄소중립이 화두로 떠오르며, 선박의 탈탄소화도 중요해지고 있는데, 해민중공업은 친환경 선박의 선두주자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어떤 제품들을 연구, 개발하시나요? 해민중공업은 국내 최초의 전기추진선 제조 기업으로 알루미늄 선박 제작 및 상용화를 통해 해양환경오염의 최소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전기 추진 관공선을 건조하였는데, 지금은 부산 북구 화명정수사업소에 낙동강 수질 환경 관리용으로 3년째 운항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최초로 완전한 배터리 전기 추진 여객선이며 북항재개발 시찰선으로 운영될 …
-
<오염된 해양 사진> ©pixabay 기름유출 사고,해양 폐기물 문제 등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전 세계의 인류에게남겨진 과제였다.해양환경을 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지금,우리나라는 과연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정부와 기업,시민들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그 노력들을 살펴보자. <해양환경공단의 해양환경 보전 사업> ⓒ 해양환경공단 먼저 우리나라 정부는 2000년에 해양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해양환경보전업무 수행을 위한 한국해양환경관리공단의 설립을 추…
-
Ⓒpixabay 탄소중립이란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개념으로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는 전 지구적 온실가스 흡수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해진 이유는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여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로 약속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유럽연합·일본 등 국제사회는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실천하고 있습니다. <지…
-
뉴스를 틀면 꾸준하게 들려오는 소식인 ‘기후변화’. 지난 몇십 년간 해수면이 상승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고, 해수 온도 역시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해양 환경 및 생태계에서 나아가 육지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전 세계는 기후변화에 대해 경고하는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의 발생은 줄이고 흡수는 늘리려는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해양수산부 역시 2021년 12월에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
-
<해안 정화활동 봉사자들> ⓒ rawpixel 바다오염의 주범, 해양 쓰레기 최근 해안에 간 적이 있으신가요? 해변의 환경은 어땠나요? 더러운 해안도 있었고, 깨끗한 해안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 깨끗했던 해안은 사람들의 청소 활동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반면 사람들이 별로 이용하지 않는 해안을 본다면, 생각한 것 이상으로 많은 쓰레기들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죠. 이러한 쓰레기는 해안의 아름다운 경관을 엉망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 바다 생물에도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해안에 표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