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28개
- 3/3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세계해양포럼 포스터 공모전 대상 작 김민재 씨 ‘바다의 힘’ 포스터 등 3개 부문 26개국 293점 접수 ‘2030부산세계박람회’ 주제 ‘캐릭터 스티커’, ‘캘리그래피’ 부문 포함 해양협, ‘해양콘텐츠 공모전’ 입상작 32점 발표 < 세계해양포럼 포스터 대상 김민재 > ⓒ 한국해양산업협회 오는 10월로 예정된 제16회 세계해양포럼의 포스터 국제공모전 대상은 홍익대 시각디자인학과 2학년인 김민재 씨의 작품명 ‘바다의 힘’으로 확정됐다.2030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기원하는 캐릭터 스티커와 캘리그래피 …
-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바다는 언제나 우리 인류에게 경외(敬畏)의 대상이었다. 예로부터 우리 인류 문명은 강을 중심으로 이뤄져왔다. 그러나 강의 하류 퇴적지를 중심으로 강을 널리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바다를 활용한 사례는 많지 않다. 바다는 자연환경적으로 위험하고 정복하기 힘든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백제 건국신화에서도 미추홀(現 인천)에 자리 잡은 왕자 비류의 나라가 한성에 자리 잡은 온조의 백제에 비해 환경적으로 척박하여 국가 발전이 어려웠다는 이야기를 찾을 수 있다. 바다를 대면하고 있는 환경이 인간에게 결…
-
바다가 미래다, 바다 위의 조사관 ‘해양과학기지’ 범죄수사에서 과학적 수사를 통해 감정하고 연구자료를 축적해주는 국가기관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통칭 국과수라고 부르죠. 이 국과수와 비슷한 기관이 해양 분야에도 존재한답니다. 태풍 등 악기상을 비롯하여 해양재난재해 피해를 줄이고 해양 산업과 해양레저 활동 확대 등에 따른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주요 해양환경 정보에 대한 장기적, 지속적, 안정적인 실시간 관측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다학제적 해양과학을 위해서는 이러한 장기 연속된 시계열 해양관측…
-
세상의 변화를 이끌어낸 주역, 생체모방기술(biomimetic technology) 지구의 생명체는 38억 년의 세월 동안 환경에 맞도록 고유의 기능과 형상 등을 최적화하여 세대를 거듭하여 진화를 해왔습니다. 물론 진화의 과정 속에서 살아남지 못했거나 일부 기능 혹은 신체 구조가 퇴화된 생명체도 있지만, 이를 극복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생명체는 여전히 살아남아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습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생명체들은 자연스럽게 저마다 고유의 독특한 기능과 특징을 갖게 되었습니다. 인간들은 생명체 고유의 독특한 기능…
-
종류도 많고 기능도 다양한 해양로봇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는 해양개발을 4대 핵심 산업으로 분류할 정도로 경제·물류·교통의 핵심, 기후변화 최대 조절, 생명의 근원지, 광물·수산 자원의 보고인 바다는 그만큼 중요하다. 해상 풍력발전, 조력·조류·파력발전 등 대체 에너지 개발 확대에 따른 해양플랜트 건설과 장대 해상교량, 해저터널 등 다양한 목적의 해양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양 개발의 중요성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과거 해양 개발은 대부분 잠수사에 의존하여 진행된 반면, 사람들의 관심 영역에 해당되는 수…
-
해양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발판,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란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 보는 기술을 말합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가상세계에서 장비, 시스템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 시점을 파악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가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예측해 안전을 검증하거나 돌발 사고를 예방해 사고 위험을 줄일 수도 있으며, 또한 생산성 향상, 장비 최적화 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시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대…
-
오승진 SEA& 기자 무역에 관해 공부하면서 자연스레 바다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가진 해양산업을 앞으로도 계속 알아나가고 싶습니다. 해양폐기물, 해양정책, 환경오염, 해양환경
-
주현선 SEA& 기자 바다와 인간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안전과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해양환경, 해양관리, 해양산성화, 해양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