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해양포럼 제18회 세계해양포럼 : 해양바이오
페이지 정보

본문
기후변화 등 다양한 위기로부터 해양생명자원을 미래 세대 자산으로 전승하고,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혁신적 기술 적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ChatGPT를 시작으로 거대언어 인공지능(LLM*) 기술이 놀라운 성과를 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별, 분야별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해양생물 전문 자료, 내부 자료에 대한 사전학습(pre training), 미세조정(fine-tuning), 검색증강생성(RAG)과 같은 기술을 통해
연구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해양생명자원의 활용 연구 가속화를 위하여 빅데이터 기반 AI 및 in silico* 분석 능력을 향상시켜
의약품 개발, 화장품의 안전성 확보, 소재스크리닝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제] 해양 생물 정제를 위한 합성 생물학 : 해양 산업에서 AI 기술의 새로운 기회
정규열 포항공과대학교 교학부총장 / 시스템생명공학부·화학공학과 교수
[발제] 디지털 펩타이드: 다시보는 해양 생물 탐사
강병철 (주)인실리코젠 상무
[발제] AI 활용 해양미생물 군집 유용 기능 분석 연구
노미나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교수
[발제] ChatGPT를 이용한 신약 개발
김성은 (주)온코빅스 대표이사
[발제] 해양수산 바이오 데이터 센터
최정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수석연구원
[토론] 발제자 전원 및 박노백 해양수산부 파견 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