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해양포럼 제18회 세계해양포럼 : 조선
페이지 정보

본문
지속 가능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선·해양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감축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세계 최고의 조선·해양 강국인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이 IMO 환경규제 대응 정책을 추진하고 국제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 하고 있다.
최근 2050년 온실가스 50% 감축을 위한 무탄소 연료 선박과 운항 패러다임이 조선·해양 산업 전면에 등장하였고, 1단계로 미래 대체 탄소 저감연료인 LNG, 메탄올 연료 추진 선박이 고도화 되어 급속도로 관심이 증폭되어 다수의 선박이 인도 운항 중이다.
또한 2단계로 Global 조선·해운 시장에서 탄소중립 조기 달성을 위한 무·저탄소 연료인 수소, 암모니아, 바이오, 소형 모듈 원자로 및 연료전지 기술을 적용할 친환경 선박과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선에 이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친환경 선박은 무·저탄소 연료를 동력원으로 이용하거나 오염 저감/ 효율향상 기술을 함께 이용할수 있도록 저탄소 연료 추진,
오염저감·고효율 추진, 전기 추진,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소형모쥴 원자로 추진 및 연료전지 추진 선박으로 세분화 하고,
이에 부합하는 선박 연료인 LNG, LPG, 암모니아, 수소 등의 연료를 활용한 탄소중립 선박과, 전기 및 하이브리드 추진, 소현원자로
및 연료전지 추진체계가 탑재된 선박등의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도 그린 수소 기반의
연료전지, 다양한 모빌리티 등에 활용하여 기존 탄소 자원 중심의 에너지 패러다임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조선·해양의 융합 디지털 전동화(Co-Digital Transformation)는 미래 지속 성장 산업의 한 축으로 2030년경
전 세계 자율운항 선박 시장 규모가 142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선박시스템 및 운항제어 및 데이터 관리 플랫폼, BWMS, 트러스트
추진제어 및 기관 전동화, 자율운항 제어 시스템과 같은 오션 모빌리티 기술과 AI 디지털 플랫폼 융합 기술로
글로벌 조선·해운 시장의 확대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전략적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
[발제] 선박용 대체 연료의 미래 (The Future of Alternative Fuels for Ships)
이신형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발제] 지속 가능한 항만과 그린 쉬핑 코리도어 - 새로운 해양 연료와 항만 운영에 미치는 영향
이강기 AVL기업 사장
[발제] 지속 가능한 미래 그린 & 디지털 전환에 따른 조선, 해양 산업의 전략
스타브로스 하찌그리고리스 STAVROS HatzigriGorisEU신조기술협회장
[발제] 초격차 무 탄소 추진 해양 원자로(SMR) 기술 개발
이정익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발제] 오션 트랜스포메이션: 신재생에너지와 부유식 해상풍력
정종진 HD현대중공업 상무
[발제]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상용화 현황
임도형 아비커스 대표이사
백종혁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위원
김부기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
배정철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장
장해기 삼성중공업 부사장
김연태 한국선급 기술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