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직업 크루즈승무원(Cruise Crew or Cruise Attendant)의 직업 소개와 취업
페이지 정보

본문
신직업 크루즈승무원과 크루즈전문인력 수요의 증가
11만 톤, 총길이 290m의 이탈리아 국적선 세레나호는 수영장과 극장, 쇼핑센터, 카지노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3,780명의 승객과 1,100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메가쉽 사이즈의 크루즈선으로 부산, 인천 등 한국을 모항으로 운영 중이다. 코스타 크루즈는 한국 탑승객들을 위해 한국인 승무원을 채용, 안내 데스크, 레스토랑, 선상 프로그램, 카지노 등에 배치하고 한글 메뉴, 한글 선상 신문 등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3년 코로나로 인한 크루즈 운항의 전면 중단 조치로 크루즈 승무원에 대한 채용도 중단되거나 일시 감소했으나 크루즈 운항 재개 이후 이미 2019년 이전의 크루즈여행 수요를 대부분 회복하면서 크루즈선사들의 크루즈 승무원의 채용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들어섰고 해외크루즈선사들의 한국인 승무원에 대한 채용 증가와 더불어 향후 국적선 크루즈 취항에 따른 크루즈 전문인력의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
크루즈승무원 - GSO(Guest Service Office) 부서 ⓒ김종남
크루즈 승무원은 크루즈선 내에서 여객 서비스를 담당하는 호텔, 엔터테인먼트, 카지노, 조리, 뷰티 & 스파, 스포츠, 면세점 부문 등 각종 선내 부대시설의 부문별 승무원과 운항설비를 담당하는 크루즈 항해, 크루즈 기관, 보안 부문 등에서의 선내 종사원을 칭한다. 2021년 말 기준, 전 세계 크루즈 시장은 50여 개의 크루즈선사가 320여 척의 크루즈 선박을 운영하며 일시 승객수송력 581,201명, 1,700여개 포트(port)를 매년 최소 10,000항차 이상 운항하고 있다. 크루즈 산업은 지난 30년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한 관광산업 분야의 하나로 생활 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 및 선박 제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국제 크루즈 수요시장은 지난 수십 년간 꾸준히 성장하였으며, 2000년 이후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연간 평균 성장률(CAGR)은 약 4.6%로 전 세계 관광객 수 증가율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여 왔다. (‘21년 기준 전 세계 크루즈관광객 1,300만 명, 직접 소비액 238억$ 수준; Cruise Market Watch). 이처럼 바다 위의 리조트이자 꿈의 호텔을 지향하는 크루즈의 시대가 한국에서도 본격화되면서 크루즈선 취업에 대한 관심과 해외의 초대형 크루즈선 승무원 채용에 지원, 승선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 승무원들은 주로 승객의 선내 생활 및 선내 프로그램 안내 담당부터, 고객 안내 데스크 담당, 카지노 딜러, 웨이터/웨이트레스, 엔터테인먼트부서의 크루즈 스태프, 스포츠 스텝, 조리사, 하우스 키핑 수퍼바이저 등등 다양한 직종에 승선하고 있다. 크루즈 선사에 따라서는 외국인 승객들을 위한 언어권별 담당 직원이 있다. 요즘은 아예 한국인 승객을 위해 전담 한국인 승무원들을 ‘대거’ 채용해서 승선시키는 크루즈 선사들도 많다.
크루즈 선내 승객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진행 ⓒ김종남
크루즈 산업은 해양과 관광 그리고 문화가 융복합하는 산업으로서 그 특성상 한 분야가 아닌 다 분야의 인력이 요구되고 분야별 특화된 전문인력의 지원과 육성 없이는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다. 크루즈와 관련해 진출할 수 있는 직접적인 분야는 크루즈 승무원, 크루즈 선사 육상지원인력, 크루즈 관광서비스 인력, 크루즈 및 여객터미널 지상 지원 인력, 크루즈 관련 연구 인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크루즈승무원 (크루즈선 내 바텐더) ⓒ김종남
국내외 교육 및 자격과 고용 현황
○ 고용현황
크루즈 산업이 활성화 되면 고용효과도 크다. 크루즈선은 화물선과 달리 승무원 수가 많다. 일반적으로 크루즈 승무원은 여행객수의 1/3~1/2 정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3,000명의 여행객을 수용하는 크루즈선에는 약 1,000명의 승무원을 고용한다. 그 외에도 항만, 여행 관련 업종에서도 고용이 창출된다. 크루즈산업이 발전한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미국에서는 크루즈 산업과 관련된 일자리가 14만 개이고 북미지역 전체에는 33만 개에 달한다(CLIA). 유럽도 크루즈 관련 업종은 22개, 고용인력은 18만 7천 명에 이른다. 유럽 내 크루즈관광 상위 6개국에는 평균 약 2만 5,000명이 크루즈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근무조건은 대개가 '계약직'이다. 해외 크루즈선사들의 채용 기준에 따르면 선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모 선사의 경우 처음 들어가면 급여 USD2,000선(팁 별도)이며 6개월~ 최대 10개월 고용계약 근무 후 2~3개월 무급(낮은 직급)/유급(높은 직급) 휴가를 가진 후 재계약, 재계약 시 연봉 인상 조건을 걸고 있다. 어느 크루즈선이나 팁 포지션과 노 팁 포지션, 경력 그리고 국적에 따라 급여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인 1실의 생활공간이 제공되고 근무 후 크루들을 위한 각종 크루 파티, 크루즈선 내의 암벽타기 파도타기 헬스 등 각종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가나 쉬는 시간에는 지중해와 카리브해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은 크루즈선 크루들의 특권이다.
크루즈승무원 (엔터테인먼트 부서) ⓒ김종남
○ 교육 현황
세계적으로 크루즈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은 많지 않으며 대표적인 정규 교육기관으로는 영국의 플리머스대학교(Plymouth University), 독일의 브레머하펜대학교(Hochschule Bremerhavan University), 필리핀 라슘대학교(Lyceum of Philiphine University), 한국 대경대학교 등을 사례로 볼 수 있다. 영국의 플리머스대학교(Plymouth Univ.)는 32,000명 이상의 학생을 수용하고 영국 사우스웨스트에서 가장 큰 대학이자 학생 수용 규모 9번째 대학으로서 크루즈경영(Cruise Management)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독일의 브레머하펜대학교(Hochschule Bremerhavan University)는 4년제 과정의 교육기관으로 크루즈관광경영(Cruise Tourism Management) 과정을 운영하며 교육과정의 특성으로는 재학생들은 전원 1년간의 인턴십 과정과 1학기 동안 해외 선사나 대학에서의 연수 과정을 필수로 운영하고 있다. 필리핀 라슘대학교(LPU:Lyceum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는 필리핀이 전 세계 크루즈 및 상선 등 해운 인력 부문 선원의 주요 송출국의 역할에 걸맞게 크루즈 관련 전공만 1천여 명을 유지하고 크루즈 부문 전공으로 크루즈 호텔 서비스전공(Cruise lines operations in hotel service),크루즈 조리 전공(cruise lines operations in culinary arts)으로 나뉘어 4년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전 세계 크루즈 선사들을 대상으로 인력을 공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부 산하 정규대학 중 국내 최초로 2010년 개설, 2012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2년제 및 4년제 복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경대학교가 크루즈 승무원 및 크루즈 관광 전문인력의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주무 부처인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크루즈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외국적 크루즈의 국내 기항을 더욱 확대하고, 국적 크루즈 선사가 운항 경쟁력을 갖추고 크루즈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많은 고용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크루즈 인프라의 구축과 관련 크루즈 전문인력 양성 등 크루즈 산업의 체계적인 육성· 지원 방안을 제도화하였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오고 있다. 크루즈 시장을 둘러싼 이러한 환경요인으로 국내· 외 크루즈선사들의 한국인 크루즈 승무원 채용계획과 규모가 커지면서 크루즈산업 분야 전문인력이 신규 일자리 창출의 기회이자 미래 유망 직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크루즈 승무원 실습 – 크루즈 승객 신용카드 등록서비스 지원 모습 ⓒ김종남
○ 관련 자격 및 요구 능력과 채용패턴
크루즈 승무원 채용은 크루즈 선사가 직접 또는 채용대행사를 통해 진행한다. 채용 공지는 해당 교육기관을 통해 진행하는 편이며 절차는 서류면접-1차 인터뷰-2차 인터뷰-최종합격자 발표-승선 준비 절차에 따라 진행한다.
크루즈 승무원 취업을 위한 관련 자격은 특별히 요구되지는 않으나 크루즈 선박 내 승무원으로서 일을 하기 위한 외국어 능력과 관련 부문별 실무능력이나 업장 부문별 특기능력이 있거나 경험 등이 채용 시 유리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특히, 승선 전 선원법 제43조(선원 교육훈련)와 45조(선원수첩 교부)의 규정에 따른 기초안전교육, 여객선 기초교육, 보안 교육 등을 이수하고 선원수첩을 교부받아야 승선이 가능하다. 크루즈선은 보통 수 개국에서 수십 개국의 승무원이나 승객이 다양한 국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외국어에 취약하면 고객 응대는 물론 승무원 자신도 불편해 생활하기 힘들다. 토익이나 토플의 고득점 성적보다 실전에서 말하고 알아들을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해 영어 회화 능력이 우선 요구되며 제2외국어를 구사 시 채용에 더욱 유리해진다. 면접의 경우 직접 외국어 인터뷰를 실시하기 때문에 말하기 듣기 위주로 준비해야 한다. 크루즈 승무원 채용시 선사들이 전공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으나 대학의 크루즈승무원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실무교육과 인턴쉽 코스 및 산학연계를 통한 채용 정보와 취업 관리를 받을 수 있고 전공자들이 선호되고 있다.
김종남
(현) 대경대학교 호텔크루즈학부 교수
<주요 경력>
(현) 대경대학교 국제크루즈산업연구소장
(현) 한국해양관광학회장
(현) 한국크루즈포럼 이사 및 운영위원
(현) 해양수산부정책자문위원
(전) 한국크루즈관광산업포럼(KCTIF) 상임 운영위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