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해양포럼 제18회 세계해양포럼 : 수산
페이지 정보

본문
수산업은 전통적인 1차 산업 분야로 여겨졌지만,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과 기후변화 등의 도전에 직면하면서 디지털 혁신이 필수적인 과제가 되고 있으며, 급속히 발전하는 AI와 디지털 기술이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회를 조명하고,
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I, 빅데이터, IoT,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을 수산업에 접목하면 자원관리, 양식, 유통 등 전 부문에서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수산업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과 비전, 선도 사례를 공유하고 쟁점을 논의하고, 어가 수용성 개선 방안, 정부 정책 방향, 민간 협력 등
수산업 디지털화 가속화 전략을 모색해본다.
[발제] AI를 활용한 어획 자동 등록: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및 SDG14에 부합하는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어업 데이터 확보 도구
레이첼 틸러 노르웨이 SINTEF Ocean 수석 과학자
[발제] Ocean Big Data: Marispace-X와 Fish-X가 시연한 데이터스페이스와 인공지능의 결합의 힘
얀 벤트 Jann Wendt 독일North.io 대표이사
[발제] 유럽의 소규모 어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Fish-X 프로젝트
장 피에르 쿠작 Jean-Pierre Cauzac프랑스 CLS 프로젝트 전략 매니저
[발제] 수산 관리에 있어서 AI 기술의 응용
최정화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소장
*공동발제 : 윤석진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사
[발제] 수산양식 디지털 전환을 위한 ICT
조성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터장
발제자 전원 참석
오서연 KMI 수산연구본부 전문연구원
진효상 에코아쿠아팜(주) 대표
황준성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 수산정책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