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119개
- 1/12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대한민국 최초 바다 박물관, 국립해양박물관에서의 첫 출근기 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출근하게 된 곳은 부산 영도에 있는 국립해양박물관인데요! 건물 외관이 정말 멋지게 생겼죠? 그럼 저와 함께 멋진 국립해양박물관에서의 첫 출근을 시작해볼까요? 국립해양박물관은 어떤 곳이죠? “국립해양박물관은 2012년에 개관한 국내 최초의 종합 해양 박물관이며, 해양에 관한 역사, 문화, 예술 그리고 항해 선박까지 갖추고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정말 많은 관람객이 찾아와주신다고 하는데요! 이 외에도 해양 생물 …
-
에드워드 글레이저의 저서 『도시의 승리(Triumph of the City)』는 "도시화는 번영과 행복의 열쇠다"라고 언급하며, 아테네부터 뉴욕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시들이 도시화를 통해 번영하고 시민들의 행복을 이끌어냈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역사를 기반으로 혁신을 추구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으며, 몰락의 길로 들어섰다가도 재기하는 수많은 도시들 덕분에 도시의 승리가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그 원동력은 바로 과거, 즉 역사를 잊지 않고 되살리며 새로운 길을 찾아 도시의 부흥을 이루어내기 때문입니…
-
세계 최초의 선박 터널 운하(運河)는 있다. 땅을 파서, 물을 채워 넣고, 배가 다니게 만드는 인공적인 뱃길이다. 서남아시아(중동)와 유럽을 잇는 수에즈 운하와 중미 태평양과 대서양 바다를 이어주는 파나마 운하가 대표적이다. 사람과 물자를 나르는 선박 통항로다. 동시에 글로벌 물류 공급망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기 파나마 운하에 깊은 관심을 기울인 이유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선박이 운항하는 터널을 만들 적은 없었다. 그걸 지금, 북유럽 해양강국 노르웨이가 추진하고 있다. 노르웨이 …
-
아드리아해 깊숙한 곳에 돌출한 이스트리아(Istria) 반도 남단의 크바르네르(Kvarner)만에 위치한 리예카(Rijeka)는 크로아티아 서북부에 있는 도시로 국가 3대 도시이자 최대 항만이다. 인접한 슬로베니아 코페르(Koper)항의 좁은 해안선으로 인한 확장 한계, 이탈리아 트리에스테항의 비싼 임금과 배후교통망 문제 등으로 리예카가 새로운 중앙 유럽의 항만물류거점으로 성장 중에 있다. 이미 글로벌 2위 선사인 머스크가 지중해 물류거점을 리예카로 옮겨 왔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글로벌 물류기업들도 리예카에 자리를 잡…
-
-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부터 포코그룹에 출근하게 된 신입 해(海)사원입니다! 여러분, 선박 수리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배도 자동차처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고장난 부분은 수리해주어야 한답니다. 바닷물의 염분, 거친 파도 때문에 배는 쉽게 녹슬고 손상되기 쉬워요. 특히 엔진, 프로펠러, 선체 등은 오래 쓸수록 마모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과 수리는 안전한 항해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에요! 그럼, 저와 함께 포코그룹에서의 첫 출근을 같이 체험해보실래요? ☀아침은 국민체조로 시작! 출근하자마자 하루…
-
북극항로의 미래 전망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 빙권(氷圈) 감소로 '30년경 북극항로 개방이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최단 항로인 북극항로 개발이 점차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속되고 있는 중동 지역의 홍해 위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논의,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북극 개발 확대 전략 수립 등은 북극항로의 활성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동인(動因)이 될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당초 많은 전문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의 대러(對露) 경제제재…
-
건축에 관련된 현대적 기술은 가파르게 발전하고 있다. 예전에는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그림들이 현실세계에서 일상이 된다. 사막 한가운데에 거대한 리조트를 건설하거나 바다 한가운데에 인공섬으로 도시를 만든다는 것도 이제는 익숙한 일이고, 현실적으로 구현되기 어려운 각종 제약들이 허물어지고 있다. 더구나 거대한 자본까지 뒷받침되는 경우 비록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들 뿐 불가능이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중동 오일머니의 초거대자본이나 미래를 위한 초국가적 투자가 아니라면 일상적인 도시의 현실에서는 아직도 건축적으로 많…
-
북극항로의 등장 북극항로는 해상운송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캐나다 북극해를 통과하여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북서항로(Northwest Passage, NWP), 러시아 북쪽 해안을 따라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북동항로(Northern Sea Route, NSR), 그리고 북극점(North Pole)을 직접 통과하는 북극횡단항로(Transpolar Sea Route, TSR)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북동항로를 북극항로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북극횡단항로의 정의…
-
바다의 ‘Airbnb’, 바다의 ‘Uber’ 에이비엔비와 우버는 대표적인 공유 경제 플랫폼이다. 쉽게 말하면 남의 것을 빌려 돈벌이는 하는 한국식 ‘봉이 김선달’이다. 2008년에 에어비앤비가 성공적으로 론칭하면서 이 같은 공유경제모델이 빠르게 퍼졌다. 해양관광과 해양 액티비티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크로아티아에서 시작된 요트위크는 물론, 프랑스 기반의 클릭앤드보트, 미국에서 주로 활동하는 요트세터와 세일로, 겟마이보트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기업은 2013년 전후에 등장한 스타트업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해양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