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81개
- 1/9 페이지 열람 중
해양웹진 SEA& 게시판 내 결과
게시판으로 보기-
⚓지난 2025.6.17(화)해양레저관광과 크루즈관광 전문가 분들을 모시고 ''해양레저관광과 크루즈관광 현황 및 산업연계 활성화 정책제안'을 주제로 좌담회를 가졌습니다 ⚓이번 좌담회에서는 해양레저와 크루즈 산업에 주목하여 관련 산업 간의 연계성과 지역경제와의 시너지 방안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특히, 해양관광 산업의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업계 대표들이 함께 자리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함으로써 논의에 깊이를 더했습니다. (한국해양산업협회)http://kami.kr/ (웹진)htt…
-
생선이 없는 생선이 나오다. 최근 몇 년 동안, 대체육 개발을 둘러싸고 무성한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그게 진짜 고기냐는 비판에서부터, 실제로 시판되려면 적지 않을 시간이 걸릴 거라는 우려까지 여러 말들이 설왕설래했다. 그 가운데, 가장 최악의 평가는 축산업자들의 반발이었다. 세포 배양 대체육은 고기가 아니므로 고기라는 이름을 붙이면 안 된다는 논리였다. 이때 ‘인조 고기’라는 생경한 용어까지 등장했다. 식품 안전 및 위생 측면에서 검증이 되지 않았으니 시판은 절대 불가라는 경고도 나왔다. 이 같은 분위기는 2020년대 …
-
바다의 ‘Airbnb’, 바다의 ‘Uber’ 에이비엔비와 우버는 대표적인 공유 경제 플랫폼이다. 쉽게 말하면 남의 것을 빌려 돈벌이는 하는 한국식 ‘봉이 김선달’이다. 2008년에 에어비앤비가 성공적으로 론칭하면서 이 같은 공유경제모델이 빠르게 퍼졌다. 해양관광과 해양 액티비티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크로아티아에서 시작된 요트위크는 물론, 프랑스 기반의 클릭앤드보트, 미국에서 주로 활동하는 요트세터와 세일로, 겟마이보트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기업은 2013년 전후에 등장한 스타트업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해양레저…
-
정어리 대풍시대에 어망 공장 설립 1910년 8월 경술국치(庚戌國恥)로 조선이 무너졌다. 그해 같은 달 일본 히로시마에서 어망 공장 하나가 문을 열었다. 고바야시 테루아키가 설립한 사이비 모지 오리(현 닛또 세이모)였다. 당시 일본은 정어리 산업이 번창했다. 1900년대 후반부터 일본 연안에 정어리 떼가 밀려들면서 어획량이 크게 늘었다. 정어리를 둘러싼 새로운 산업군이 대거 등장했다. 잡은 정어리를 어유, 어분(비료), 젓갈, 건어물 등으로 만들어 팔았다. 지역 어촌은 정어리 어업으로 인구가 늘어났고, 어상(魚商)…
-
낚시 산업이 뜬다, 낚시인구 720만 명 우리 모두가 잘 아는, 대중적인 레저 스포츠가 있다. 낚시다. 낚시 인구는 대략 720만 명이다. 1년에 세 번 정도 낚시를 한 사람을 기준으로 추정한 수치다. 낚시 협회의 의견은 조금 다르다. 진성 낚시인구를 기준으로 120만 명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 54명당 1명이 ‘낚시꾼’이라는 의미다. 이참에 낚시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낚시법에 따르면, ‘낚싯대와 낚싯줄ㆍ낚싯바늘 등 도구를 이용하여 어류ㆍ패류ㆍ갑각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산동물을 낚는 행위’를 말…
-
육상 양식으로 자원의 가치도 높이고, 고부가가치 상품과 요리 개발 그 흔한 해조류를 최고급 상품으로 개발 조금은 범상치 않은 회사다. 그 흔한 해조류를 다시 보고, 최고급 상품과 헬스케어 제품, 그리고 요리 등으로 개발하는 곳, 일본의 시 베지터블 컴퍼니(Sea Vegetable Company)다. 어렸을 적부터 바다의 매력에 흠뻑 빠졌던 두 젊은이가 의기투합해 창업했다. 해조류가 갖고 있는 풍부한 영양소와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해조류의 가치를 알리는 중이다. 1990년대 설…
-
세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수산물에 대한 수요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어업은 전 세계 수백만 사람들의 생계와 식량 안보를 책임지는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하지만 불법어획, 무분별한 어업 등과 같은 자원 남용, 인위적인 해양 생태계 파괴, 기후 위기까지 더해지면서 우리 수산자원의 고갈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수산자원을 현명하게 관리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어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2024 세계식량기구 보고서의 글로벌 수산자원 현황 ⓒUN FA…
-
피시 와이프에 들어 있는 숨은 뜻 피시 와이프(fish wife) 라는 말은 우리나라에서는 몰라도, 외국에서만큼은 썩 좋은 이름이 아니다. 노상 시끄럽고, 입이 험한 여자라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어서다. 본래 생선가게 아줌마가 그렇게 된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지금처럼 냉장시설도 없고, 얼음도 흔하지 않던 시절에, 생선은 다른 상품과 달리 부패하기 쉬운 상품일 수밖에 없었다. 상하기 전에 무조건 빨리 팔아 치우는 게 최선의 방책이고, 손해를 줄이는 최고의 비결. 재고가 남은 상태에서 바다에 나간 남편이 다시 …
-
오션인텔리전스(Ocean Intelligence with AI) 그 후, [개회 및 세션 소개] 김현겸 팬스타그룹 회장 / 세계해양포럼 기획위원장 [종합] 장하용 부산연구원 도시해양연구실 책임연구위원 [토론] 해양수산부 : 김용태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 국장 부산시 : 심성태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 해양바이오 : 최완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관장 해양금융 : 윤희성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대학원장 해양인문학 : 김창경 국립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장 조선 : 안광헌 HD한국조선해양(주) 사장 해운·항만 : 김인현 고려대학…
-
Our Ocean Conference(이하 ‘OOC’)는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국가정상급 참여 해양분야 대표적 국제회의로 국제사회, 국가, 시민사회, 기업 등은 개별적으로 주요 핵심의제*에 대한 책임있고 자발적인 공약을 제시하고 실천해오고 있음. (핵심의제) 해양보호구역, 해양오염,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어업, 해양경제, 해양안보 2025년은 OOC 10주년 되는 해로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글로벌 허브도시” “동북아 물류 거점도시”라는 위상에 걸맞게 부산의 해양분야 신산업을 …